정리/과학 스크랩

블록체인 기반 프로젝트 시작하기 전, 알아야 할 사항들 - IDG Summary

_\oyo/_ 2022. 9. 13. 23:39

가. 블록체인

: P2P 네트워크를 통해 복제되는 분산원장 데이터베이스 유형
: 중앙 데이터베이스 관리자가 없는 다른 유형의 분산 데이터베이스에도 적용될 수 있음

[네트워크 내의 모든 참여자가 공동으로 거래 정보를 검증하고 기록, 보관함으로써
공인된 제3자가 없어도 거래 기록의 무결성 및 신뢰성을 확보하는 기술]

 

나. 블록체인 분류

1. 네트워크 기준의 블록체인 분류와 사례

네트워크 기준 특징 수행 사례
파운더 리드
네트워크
(Founder-Led
Network)
- 초기 블록체인 네트워크 구축
  시 파운더가 주도
- 소규모 업체
- 대기업과 같은 계열사
- 내부 시스템 간 연동 시
 
조인트 벤처
네트워크
(Joint Venture
Network)
- 대기업 계열사 내 또는 규모
  있는 기업 간 협력을 위해 구축
- 대기업
-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기업
IBM과 머스크가 조인트 벤처를 설립해 함께 물류 관련 플랫폼을 제작
컨소시엄
네트워크
(Consortium
Network)
- 특정 산업 분야나 서비스를
  중심으로 구축
- 대기업 주도, 중소기업 참여 암호화폐 Ripple,
Corda, Ethereum
비즈니스
에코 시스템
(Business
Ecosystem)
- 좀 더 큰 네트워크 형태
- 여러 산업분야와 연계한 대규모 블록체인 네트워크
- 컨소시엄, 조인트 벤처 등 여러 블록체인 서비스나 네트워크가 결합한 혼합된 형태  

[출처] IDG Summary│Blockchain

 

2. 프로젝트 규모로 나눈 블록체인 분류와 사례

프로젝트 규모 특징 수행 사례
컨소시엄 기반의
네트워크
(Consortium Based
Network),
- 타 기업과 중소기업을 컨소시엄으로 묶어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공동으로 사용하는 구조
- 파운더가 여러 개로 규모가 큼
- 프로젝트 수행은 대기업이나 정부가 주도 관세청의 수출통관 물류 서비스가 이와 유사
파운더 감독 기반의
네트워크
(Founder Directed
Network)
- 파운더가 하나만 존재
- 초기에는 내부 서비스만 사용하다 외부 업체를 참여시키거나 내부에서도 확대해나가는 구조
- 프로젝트 규모는 하, 중 규모로 상대적으로 작음
- 스타트업이나 중소기업들이 자체적인 내외부 블록체인을 구성해 서비스  
커뮤니티 기반의
네트워크
(Community Based
Network)
- 파운더는 없지만 참여자간 합의를 통해 네트워크 서비스 소유자가 주도로 구성 - 업계 표준기관, 정부, 대기업이 주도  

[출처] IDG Summary│Blockchain

  •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모든 업데이트되는 데이터를 업데이트 한다"
    -> but 최근에는 당사자 간 거래는 당사자끼리만 저장하는 개념도 있음
  • 이런 식으로 공유는 하지만, 데이터는 당사자간이나 자체적인 데이터를 소유하는 개념
    -> 공유하고 싶지 않은 정보나 데이터를 참여자 자체적으로 원장에 보유
  • ex) 은행연합회: 은행들이 별도의 노드를 다 구성
           -> 1. 뱅크 사인이라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한 참여자로서 서비스를 받기 위함
               2. 은행 내부 시스템에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갖기 위함

 

다. 블록체인 기반 프로젝트 수행 시 고려 사항

  1. 블록체인은 모든 데이터를 저장, 처리하는 분산 저장 데이터베이스가 아니다.
  2. 블록체인 기술 도입시, 효과 여부를 사전에 파악해야 한다.
  3. 블록체인 프로젝트 수행 범위 중, 비용 절감 영역과 비용 증대 영역을 사전에 검토해 야 한다.
  4. 감사(Audit) 및 중앙에서 데이터 관리가 필요한 체계가 필요한 지 여부를 검토해야 한다.

블록체인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RDBMS 방식이 아닌 NoSQL 방식
블록체인은 모든 데이터를 저장, 처리하는 분산 저장 데이터베이스가 아님

 

라. 사용사례 선정을 위한 고려 사항

사용 사례 선정을 위해 먼저 비즈니스적, 기술적, 법률적 고려 사항을 살펴봐야 함

  1. 디지털 기반의, 혹은 디지털화된 자산에 적합한가
  2. 당사자간에 신뢰가 필요한가
  3. 실시간 처리 기반의 결제 시스템이 필요한가
  4. 현재 서비스 아키텍처에 수작업이 다수 포함되어 있는가
  5. 결제 관련 서비스가 운영상의 이유로 프로세스 처리에 많은 시간이 걸리는가
  6. 고객, 참여기관, 규제 당국에 자료의 투명성 및 보고가 필요한가

 

 

[원본] 블록체인 기반 프로젝트 시작하기 전, 알아야 할 사항들 - IDG Summary
          https://www.itworld.co.kr/techlibrary/110382